분쟁/긴장

  • 동북아시아

    대만 방어

    셰일 호로위츠(Shale Horowitz) 박사/위스콘신 대학교 밀워키 캠퍼스 대만의 자유민주주의가 풍전등화의 위기를 맞고 있다. 침공과 봉쇄에 대한 위험이 가장 크지만 경제적, 정치적 위협에 대한 주의도 필요한 상황이다. 모든 것이 상호 관련성이 깊은 만큼 일본, 대만, 미국을 비롯한 여타 동맹국 및 파트너국 간의 긴밀하고 지속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지난 10년간 미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은 상당한 진전을 이뤘으며, 그 결과 현재는 판도를 뒤집을…

    Read More
  • 동남아시아

    해상 기동

    포럼 스태프 우크라이나가 불법 침공을 일으킨 러시아와의 전투 중에 대만에 도움이 될 만한 군사 자산을 선보였다. 전문가들은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을 수호하고, 자치 섬인 대만에 대한 중국의 침략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대만이, 우크라이나의 해양 드론이라 불리는 무인수상정(USV) 활용 케이스와 2022년부터 이를 활용해 흑해 내 러시아 해군에 입히고 있는 피해 케이스들을 살펴봐야 한다고 말한다. 우크라이나는 마구라(Magura) V5 무인수상정을 정찰에 활용했는데, 이는 공격 드론과…

    Read More
  •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 태평양

    군집 드론 폭풍

    포럼 스태프 영국과 미국은 세계 1차대전 중 조종사가 없는 최초의 운행체를 개발했다. 런던 소재의 임페리얼 전쟁 박물관 연구소(Imperial War Museums Institute)에 따르면, 영국은 1917년 3월 소형 무선 조종 항공기인 애리얼 타겟(Aerial Target)을 시험했으며, 미국의 공중 어뢰 케터링 버그(Kettering Bug)는 1918년 10월 첫 비행을 선보였다. 양국 모두 시험을 통해 가능성을 보았으나 전쟁 중 작전에 이를 활용하지는 못했다. 그로부터 한 세기 이상이…

    Read More
  • 분쟁/긴장

    목적에 부합하게

    포럼 스태프 | 사진 제공: 오스트레일리아 국방부 중대한 임무였다. 일정표만 보더라도 자명했다. 오스트레일리아 국방 전략 및 무력 태세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통상적인 시한인 18개월이아니라 6개월 이내에 권고를 발동해야 한다. 이는 어쩌면 지난 30여 년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이뤄진 분석 중 가장 중요한 분석일지도 모른다. 퇴역한 공군 대장이자 국방전력검토 공동 지휘자인 앵거스 휴스턴(Angus Houston)은 “그야말로 무리한 명령이었다”고 회고했다. 그는 41년 간의 군복무 기간 동안…

    Read More
  • 분쟁/긴장

    핵의 변화

    포럼 스태프 중국은 지난 10년 동안 인민해방군 로켓군 내 전투 미사일 여단을 두 배로 늘려 재래식 및 핵탄두를 발사할 수 있는 미사일을 공개하고 미사일 방어를 회피하는 기술을 홍보했다. 캘리포니아 주 몬트레이(Monterey)에 소재한 미들베리 국제학연구소(Middlebury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산하 제임스마틴비확산연구소(James Martin Center for Nonproliferation Studies)는 “2023 인민해방군 로켓군 전투 명령서(People’s Liberation Army Rocket Force Order of Battle 2023)”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Read More
  • 글로벌 공통 사안

    잘못된 움직임

    포럼 스태프 제재 대상인 러시아산 석유를 운송할 현대식 유조선이 부족해지면서 원유 및 정제 석유를 수입국에 공급하는 600여 척의 노후 유조선으로 구성된 “그림자 선단”이 나타났다. 이 선박들은 소유권은 숨기고 자동 식별 시스템을 끄며, 해상 환적과 “스푸핑(spoofing)”을 통해 탐지를 회피하고 있다. 스푸핑은 조작된 전송 신호 전송을 통해 선박의 위치를 위장하는 기술이다. 2023년 7월 로이터는 러시아가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석유…

    Read More
  • 동북아시아

    행동과 모순되는 중국의 글로벌 안보 이니셔티브

    징하오 저우(Jinghao Zhou) 박사 중국 외교부는 2023년 2월 국제 안보 문제와 해결책을 다룬 보고서를 발표했다. 글로벌 안보 이니셔티브(Global Security Initiative)는 이보다 10개월 앞선 시점에 시진핑(Xi Jinping) 중국 주석이 연설에서 제안했던 개념을 반영한 것이다. 최근 중국의 행보에 의문을 갖고 있다면 글로벌 안보 이니셔티브를 이해하고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 국가 안보에서 글로벌 안보로 전환 안보는 위협과 무단 접근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국가,…

    Read More
  • 동북아시아

    날카로운 모서리

    제이크 월리스(Jake Wallis) 박사/오스트레일리아 전략정책연구소 중국은 시진핑(Xi Jinping) 주석의 독단적인 통치 아래 국제 질서를 재편하기 위한 글로벌 정치 선전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는 정보 영역에서 다른 권위주의 국가들이 제기하는 것보다 더 복잡한 과제이며, 러시아가 허위 정보를 외국의 간섭 및 전복과 파괴적으로 통합하는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한 문제다. 시 주석 하에서 중국의 야망이 훨씬 더 크고 중국의 권력 투사가 다른 수정주의…

    Read More
  • 동북아시아

    중국의 스파이 활동 폭로

    포럼 스태프 2023년 1월 말과 2월 초에 미국 대륙을 가로지르는 고고도 감시 풍선이 선명하게 포착되어 미국 전투기에 의해 격추되면서 각국은 중국 스파이 활동의 범위에 대해 경각심을갖게 되었다. 중국은 과거에도 이러한 유형의 감시 기술을 전 세계에 배치하여 전략적 경쟁국을 감시하고 국제법과 수십 개국의 주권을 침해한 바 있다. 미국 국방부 대변인 패트릭 라이더(Patrick S. Ryder) 준장에 따르면 최근 몇 년 동안 동아시아,…

    Read More
  • 동북아시아

    초국가적 억압

    포럼 스태프 국중국이 많은 경우 의심하지 않는 호스트 국가의 승인을 받지 않거나 호스트 국가 몰래 설립한 비밀 사무소인 “해외 경찰서”를 통해 전 세계 국가의 주권을 침해한다는 국제적 비판을 받고 있다. 인권 옹호자들은 해외 경찰서가 중국이 해외에 거주하는 반체제 인사들을 추적하고 괴롭히는 거점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활동이 발견됨에 따라 유럽부터 인도 태평양과 북미까지 수사가 촉발되어 범죄 혐의가 드러나기도 했다. 스페인에 본부를 둔…

    Read More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