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 글로벌 공통 사안

    러시아의 공세와 곡물협정 탈퇴로 중국 내 ‘극심한’ 인플레이션과 세계 식량 안보 위협 예상

    포럼 스태프 우크라이나를 대상으로 명분 없는 전쟁을 이어 나가고 있는 러시아가 2023년 7월 흑해곡물협정에서 탈퇴했다. 이는 러시아가 전 세계를 대상으로 식량 공급을 무기화하려 할 뿐 아니라, 중국을 비롯한 우호국들과 사이가 멀어지는 것 역시 감수할 의지가 있음을 보여준다. 유엔에 따르면 러시아는 지난 한 해 동안 흑해곡물협정에 따라 전쟁으로 인한 흑해의 봉쇄를 풀고 인도주의적 뱃길을 열어 밀, 보리, 옥수수, 해바라기 등 약…

    Read More
  • 글로벌 공통 사안

    북한 해커 집단, 러시아의 주요 미사일 개발업체 해킹

    로이터 로이터 통신이 검토하고 보안 전문가들이 분석한 기술적 증거에 따르면 북한 해커 집단은 2022년 중 최소 5개월 동안 러시아 주요 미사일 개발업체의 컴퓨터 네트워크에 몰래 침입하는 데 성공했다. 로이터는 북한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사이버 첩보팀 스카크러프트(ScarCruft)와 라자루스(Lazarus)가 모스크바 교외의 소도시 레우토프에 위치한 NPO 마쉬노스트로예니야 산하 로켓 설계 부서 시스템에 침입할 수 있는 디지털 백도어를 비밀리에 설치한 사실을 알아냈다. 해당…

    Read More
  • 동북아시아

    미국, 인도태평양에서 러시아의 해양 활동 감시

    더 워치 스태프 미 북부 해군사령부와 동맹국 및 파트너국은 태평양에서 러시아의 활동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은 미 북부 군사령부의 책임 지역과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의 책임 지역을 넘나드는 경우가 많다. 미 북부 해군사령부는 미 북부 군사령부의해양 담당 조직으로서 미국 해군의 해양 국토 방위를 주도한다.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와 미 북부사령부의 사령관 글렌 D. 밴허크(Glen D. VanHerk) 대장은 2023년 의회 증언에서 “지난 한해, 러시아는…

    Read More
  • 기후

    물 부족 심화로 바이칼호를 둘러싼 중국과 러시아 간 긴장 촉발 우려

    톰 아브케(Tom Abke) 물 부족 사태에 직면한 중국이 세계 최대의 담수호인 러시아의 바이칼 호수를 위기 타파를 위한 해결책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바이칼호 물을 수입하려는 시도는 러시아 정부의 초기 지지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대중의 반대에 부딪혀 무산되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물 부족 사태가 심화되면서 31,500km²에 달하는 바이칼호 물에 대한 접근이 러시아와 중국 사이에 분쟁의 씨앗이 될 수 있다고 전망한다.…

    Read More
  • 동북아시아

    노후 선박들, 제재 품목인 석유 밀수에 동원

    포럼 스태프 유조선 파블로(Pablo)호의 대규모 폭발 사건으로 제재 품목인 원유나 디젤, 제트 연료와 같은 정제유를 수송하는 “암흑 선단(dark fleet)”이 주목을 받고 있다. 파블로호는 석유 불법 운송에 동원된 최초의 선박이다. 서방 국가들이 이란, 베네수엘라에 이어 최근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금지 및 제한하자 이러한 석유 불법 환적에 동원된 선박은 600척 이상으로 증가했으며, 이 중 대부분은 선박으로서의 황금기가 수 년 이상…

    Read More
  • 남아시아

    방글라데시, 우크라이나 전에 대해 ‘국제법 위반’이라며 입장 전환

    베나르 뉴스 이전에는 입장을 분명히 하지 않던 방글라데시가 우크라이나 전쟁은 국제법과 유엔 헌장에 대한 위반이라고 선포했다. 2023년 4월 말, 셰이크 하시나(Sheikh Hasina) 방글라데시 총리는 방일 도중 일본과의 공동성명을 통해 이와 같은 입장 변화를 밝혔다. (사진: (셰이크 하시나 방글라데시 총리(왼쪽)와 기시다 후미오(Fumio Kishida) 일본 총리가 공동성명에 서명한 후 악수하고 있다.) 공동성명에 따르면 “양국 총리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국제법, 특히 유엔 헌장을 위반하는…

    Read More
  • 동남아시아

    러시아의 미얀마 군부 지원으로 동남아시아의 불안정 증가

    로이터 2023년 3월 한 미국 고위 관리는 러시아의 무기 공급으로 미얀마의 분쟁이 재앙으로 확대되었으며, 이러한 러시아의 미얀마 군부 지원은 용납할 수 없는 행위로, 그로 인한 불안정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데릭 숄레이(Derek Chollet) 미국 국무부 고문은 미국이 2021년 2월 쿠데타 이후 미얀마에서 고조되고 있는 위기와 미얀마에 군사 기지를 건설하려는 러시아와 군부 간 관계 발전이 미칠 광범위한 영향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Read More
  • 주요 뉴스

    일본, 전후 최대 군비 증강 발표

    로이터 일본이 중국과 북한을 타격할 수 있는 미사일을 구입하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지역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지속적인 분쟁에 대비하기 위해 미화 3200억 달러 규모의 계획을 발표했다. 2022년 12월 중순에 공개된 5개년 종합 계획에 따라 일본은 현재 예산 기준으로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군비 지출국이 된다. 기시다 후미오(Kishida Fumio) 일본 총리는 일본과 국민이 “역사의 전환점”에 있다며 국방 예산 증액이…

    Read More
  • 주요 뉴스

    중국, ‘우정’의 한계 다시 증명

    포럼 스태프 수년 전 중국은 우크라이나와 유엔에 우크라이나에 핵무기를 사용했거나 사용하겠다고 위협하는 국가에 맞서겠다고 약속했다. 이러한 약속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러시아와 협력함에 따라 중국의 다른 국제 약속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 지도자의 언행이 늘 일치했던 것은 아니다. 2022년 2월 러시아의 부당한 침공으로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해 2022년 6월 시진핑(Xi Jinping) 중국 주석은 “인류에 경종을 울렸다”고 말했다. 또 2022년 11월 중순…

    Read More
  • 동북아시아

    통합 억제

    중국의 회색 지대 작전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법 재고

    Read More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