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
동북아시아
대만, 해저 케이블 파손 혐의로 중국 선장 기소
로이터 2025년 4월, 대만 검찰은 대만 본섬과 펑후섬을 연결하는 해저 케이블을 고의로 파손한 혐의로 중국 선장을 기소했다. 이는 여러 차례 발생한 사건 중 가장 최근의 사례로, 대만 당국에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중국과의 긴장을 더욱 심화시켰다. 닻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이는 손상을 케이블 운영자가 신고하자 당국은 토고 등록 화물선인 홍타이 58(Hong Tai 58)호의 선장을 구금했다. 검찰에 따르면, 7명의 선원도 구금되었지만 기소되지는…
Read More -
동남아시아
미국, 발리카탄 2025 위해 필리핀에 첨단 역량 및 컨셉 배치
포럼 스태프 필리핀에서 열리는 발리카탄 2025(Balikatan 2025) 훈련에는 새로운 대함 미사일 역량 및 첨단 드론, 특수작전부대 훈련이 포함될 예정이며, 더욱 민첩하고 효율적이며 기술적으로 진보된 모습으로 꾸려진 미국 해병대 순환부대가 처음으로 함께 할 예정이다. 네이비타임즈 웹사이트 보도에 따르면, 필리핀 군과 미군은 4월 21일부터 5월 9일까지 호주, 일본군이 동참하는 가운데 연례 훈련을 개최할 예정으로, 12개 이상의 국가도 참관국으로 함께 한다. 올해로 발리카탄…
Read More -
동북아시아
보고서, 중국의 지속적 침입에 대만의 적극 대응 필요성 강조
포럼 스태프 미국 소재의 싱크탱크는 중국이 대만에 대한 감시와 영향력 공작을 확대하고 있으며, 대만은 안보와 민주주의 유지를 위해 이를 저지해야 한다고 2025년 3월자 보고서를 통해 밝혔다. 글로벌 타이완 연구소 Global Taiwan Institute (GTI) 보고서는 중국 공산당이 정보 작전과 사이버 침해, 정치·경제·언론·학계 인사 포섭 등을 통해 대만 사회 침투를 노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이러한 공작은 기존의 정보 수집을 넘어 대만의 사회…
Read More -
동북아시아
대만, ‘고슴도치’ 역량 강화를 통해 중국의 침략 위협 억제
사라 챈(Sarah Chan) 대만 해협의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대만은 점점 거세지는 중국의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비대칭 전력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만의 ‘고슴도치’ 방어 전략은 중국이 대만을 침공할 경우 막대한 대가를 치르도록 함으로써 침략을 효과적으로 저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전략은 탄도 미사일과 드론 역량 및 이동식 해안 방어 체계를 강화하여 생존 가능성이 높은 분산형 방어 체계를 구축해 억제력을…
Read More -
동남아시아
중국, 남중국해 내 해양 서식지 피해의 주요 원인으로 보고돼
포럼 스태프 남중국해 해양 서식지 피해의 3/2가 준설 및 매립 방식을 사용한 중국의 인공섬 건설로 인해 초래되었다고 연구원들은 밝혔다. 아시아 해양투명성 이니셔티브(AMTI)의 2025년 1월 보고에 따르면, 중국은 2013년 이후로 4,600에이커(약 19제곱킬로미터)가 넘는 산호초를 매립했다. 미국 소재의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산하기관인 아시아 해양투명성 이니셔티브는 위성 이미지를 분석한 후, 중국이 8천 에이커에 달하는 손상된 산호초 중 65%에 책임이 있다고 결론지었다. 인공섬 건설 활동이…
Read More -
동북아시아
전문가들, 추후 갈등 억제에 포상법 유용할 수 있어
포럼 스태프 군사 기획가와 학자들은 주요 핵 강대국 간의 갈등이 전 세계적 재앙으로 확대되는 상황과 같은 상상할 수 없는 일에 대해 숙고하는 임무를 종종 맡게 된다. 이들은 미국과 동맹국 및 파트너국의 성공 가능성을 극대화할 방안 또한 모색해야 한다. 랜드연구소(Rand Corp.)의 2024년 연구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하는 미국군의 이론(U.S. Military Theories of Victory for a War with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에…
Read More -
동북아시아
중국의 AI 모델 딥시크, 중국 관련 정보 검열
보이스 오브 아메리카 중국의 새로운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DeepSeek) 사용자들은 딥시크에 대해 실시간 답변 검열이 이루어지고 있다며, 딥시크가 정확하고 편향되지 않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딥시크가 이전에는 답변을 제공하던 질문에 대해 이제는 “죄송하지만 제 범위를 넘어선 질문입니다. 다른 주제에 관해 이야기를 나눠봅시다.”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고 밝혔다. 중국 공산당의 정책, 당국 및 영유권 주장이나 역사에 대한 질문을 받을 경우,…
Read More -
오세아니아
동맹국과 파트너국, 팔라우애서 억제력 및 회복력 강화
포럼 스태프 팔라우는 2024년 미국과 체결한 자유연합협정(Compact of Free Association) 갱신을 통해 중국의 경제적 강압으로 관광 산업이 위축된 이 블루퍼시픽 국가에 약 1조 680억 원(8억 9천만 달러)의 경제 지원을 확보했다.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점은 미국이 마찬가지로 팔라우 내 항구와 비행장 등에 군대를 주둔하고 군사 훈련을 실시할 수 있는 공동 사용 협정을 강화했다는 점이다. 최근 재선된 수란겔 윕스 주니어(Surangel Whipps Jr.)…
Read More -
동북아시아
해저 케이블 절단 공격, 중국과 연관된 정황 파악
포럼 스태프 전 세계적으로 해저 통신 케이블과 인프라에 대한 의심스러운 손상이 증가하는 가운데, 중국이 이러한 방해 파괴 행위에 상당 부분 연루되어 있다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다. 관계자와 언론 보도에 따르면, 공격 당시의 위치를 정확히 찾아내는 자동 선박 추적 시스템을 통해 확인한 결과, 중국과 러시아 관련 선박이 대부분의 사건과 연관된 것으로 드러났다. 호주 ABC 뉴스는 2025년 1월 3일, 중국 소유의 순신-39호가 대만…
Read More -
동북아시아
자유, 개방, 번영
포럼 스태프 인인도태평양 국가들은 법치주의 하에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포용적인 거버넌스와 같은 민주주의 규범들을 지역 내 문화에 잘 엮어내고 있다. 일본은 현대 헌법을 제정하기 거의 한 세기 전인 19세기 말, 당시 군사 통치를 대체하는 최초의 대의 민주주의 정부를 수립하면서 “주권은 국민에게 있다”라고 선언한 바 있다. 대학생, 학자 및 성장하는 중산층 등으로 이루어진 한국 시민 사회는 자유를 위한 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했으며,…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