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 호주-베트남 국방 훈련, 양국의 파트너십 확대 반영

    포럼 스태프 역대 최대 규모의 베트남군 파견단이 호주 해군 수병들과 함께 해상 전투 생존훈련를 실시함으로써 최근 긴밀해지는 양국 국방 관계를 입증했다. 2025년 3월, 베트남 인민군 소속 장병 17명이 호주 빅토리아주…

    더 읽어보기
  • 거부 전략

    이동근/한국 해군 인도 태평양 지역에서 해군은 억제 효과를 창출하는 힘의 균형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본 해상자위대와 호주 해군의 역할과 전략은 이러한 억제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국제 관계에서 힘을…

    더 읽어보기
  • 해양 기술 경쟁

    중국 공산당의 해군 기술 전문성에 대한 전략적 투자와 이에 대한 군-민 융합 프로그램 및 민관합작투자사업의 지원이 중국 인민해방군의 해양 기술 발전을 견인하고 있다. 미국과 그 동맹국 및 파트너국들은 중국 공산당이…

    더 읽어보기
  • 항로를 설정하라

    미국 해안경비대 미국 해안경비대는 최근 몇 년간 태평양 지역에서 국제적 활동을 확대해 왔다. 미국 해안경비대는 태평양 지역 캠페인 계획과 같은 이니셔티브를 통해 백악관의 인도 태평양 전략 및 국가 해양정보통합망 계획을…

    더 읽어보기
  • 태평양 다영역 훈련 및 실험 역량

    안드레 J. 스트리디론 III(Andre J. Stridiron III) 박사/미국 인도태평양사령부 태평양 다영역 훈련 및 실험 역량(PMTEC) 프로그램은 인도 태평양 지역 전반에서 합동 및 연합 상호운용성을 신속하게 향상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더 읽어보기
  • 환경 정보 공유

    포럼 스태프 키리바시의 칸톤섬 부두 개선 계획이 중단되었다. 호주는 프로젝트를 완료하기로 약속했지만, 외딴 환초 주변의 수중 지형에 대한 정보가 오래된 탓에 계획한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자재 공급이 지연되었다. 전 미국 해양대기청…

    더 읽어보기
  • 강압 폭로

    포럼 스태프 중국은 남중국해에서의 행동을 통해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의 배타적 경제수역(EEZ) 내 해상 영토를 포함하여 경제적으로 중요한 해역의 약 90%를 통제하고자 하는 명확한 의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수십 년간…

    더 읽어보기
  • 불법 어획

    포럼 스태프 2024년 6월, 인구 8만 2,000명의 태평양 도서국 마셜 제도가 항만국 조치협정으로 알려진 국제 계약에 공식적으로 가입하며 불법 어업과의 전투에 있어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가 구상하고 시행한 해당…

    더 읽어보기
  • 주요 통신선

    포럼 스태프 전세계가 전쟁의 구렁텅이에 빠져 있던 1914년 11월, 독일 상륙 부대가 디렉션 섬으로 향하는 것은 이상한 움직임처럼 보였다. 호주와 스리랑카 사이 동인도양에 위치한 사람이 거의 살지 않는 코코스 환초의…

    더 읽어보기
  • 비행장 현대화,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을 위한 북마리아나 제도의 중요성 부각

    포럼 스태프 1975년, 서태평양에 위치한 길이 약 482킬로미터의 군도 북마리아나제도연방 설립에 관한 협약이 의회 및 국민투표를 통해 승인되었다. 이 지역은 2026년 3월, 제럴드 포드(Gerald Ford) 당시 미국 대통령이 해당 연방과…

    더 읽어보기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