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공통 사안
-
뉴질랜드 육군, 드론 통해 전투 및 인도주의적 임무 강화
포럼 스태프 최근 뉴질랜드 방위군은 1분 이내에 작동 가능한 마이크로 드론 등 무인 항공 시스템을 배치했다. 관계자들은 이것이 전투 지역과 자연재해 발생 지역 내 정찰 및 감시 임무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더 읽어보기 -
에어로 인디아 2025, 미국-인도 관계 및 인도태평양 안보 강조
센트리 기고자(Sentry Contributor) 인도태평양 지역 내 안보 우려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2025년 2월, 역내 최대 항공우주 전시회 중 하나인 에어로 인디아(Aero India)가 시작되었다. 이번 행사에서는 방위 생산 및 수출 강화에…
더 읽어보기 -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하여 군대 재편성과 무인 시스템 투자에 나선 싱가포르
사라 챈(Sarah Chan) 싱가포르는 인구 구조 변화로 인해 잠재적 군 신병의 수가 감소하자, 무인 시스템을 확대하고 군 인력을 재편하고 있다. 인력부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노동 연령대 성인과 은퇴자 비율은 6대…
더 읽어보기 -
일본, 방위 위성 투자 확대로 우주 복원력 및 통신 역량 강화
펠릭스 김(Felix Kim) 지난 5년간 일본의 새로운 방위 위성 및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이 10배 증액됨에 따라 일본의 우주 전략이 큰 탄력을 얻고 있다. 이번 계획에는 일본에서 가장 복원력이 뛰어난…
더 읽어보기 -
40주년을 맞이한 USNS 머시, 한결같이 인도주의 및 재난 대응 능력 강화 중
포럼 스태프 ‘물 위의 의료 기적’으로 불리는 병원선 USNS 머시(Mercy)가 2025년에 진수 40주년을 맞는다. 2026년이면 USNS 머시가 미국 해군에 취역한 지도 40주년이 된다. 미국 인도 태평양 사령부의 인도주의 지원 및…
더 읽어보기 -
필리핀군, 잠수함 등 추가 현대화 모색
로이터 2025년 2월 중순 필리핀군 참모총장은 필리핀은 인도산 브라모스 미사일과 최소 2척의 잠수함을 포함한 더 많은 자산으로 군을 더욱 현대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필리핀은 역내 중국의 군사력 증강에 대응하기 위해 향후…
더 읽어보기 -
그림자 네트워크: 중국과 러시아의 제재 및 수출통제 회피를 돕는 유령회사들
미 육군 제8전구지원사령부, 국가안보법률팀 중국과 러시아는 해외 페이퍼 컴퍼니를 통해 국제 제재를 회피하고 있다. 관련 규제와 법 집행이 느슨한 사법관활지역에 설립되어 있는 이 불투명한 법인들은 제재 대상인 개인, 기업 및…
더 읽어보기 -
미 해병대의 새로운 방공 시스템, ‘임무 성공의 핵심’
포럼 스태프 미국 해병대가 새로운 지대공 방어 시스템을 통해 드론 및 기타 공중 위협에 대처할 수 있는 전례 없는 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상륙 및 연안 작전에서의 군…
더 읽어보기 -
미일 우주 프로젝트, 국가 안보에 중점
미국 우주시스템 사령부 2025년 2월 초, 일본의 준텐초 위성 6(Quasi-Zenith Satellite 6)에 호스팅된 미국의 우주 영역인식 탑재체가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에서 일본 H3 로켓에 실려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이는 국가 안보에 초점을…
더 읽어보기 -
인도네시아, 국내 방위 산업 우선시
구스티 다 코스타(Gusty Da Costa) 역내 긴장이 고조되고 전장 기술이 진화하는 가운데, 인도네시아는 국내 방위 산업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내수뿐만 아니라 수출에 있어서도 이미 성공적인 국내 생산 기록을…
더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