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쟁/긴장파트너십

미국 국방장관, 중국의 인도태평양 위협은 현실이라며 힘을 통한 평화 강조

로이터

싱가포르에서 열린 연례 국방 지도자 모임인 샹그릴라 대화에서 피트 헤그세스(Pete Hegseth) 미국 국방장관은 미국의 역내 공약을 재확인하는 한편, 중국의 위협을 당장이라도 닥칠 수 있는 현실적 위협이라고 규정했다.

미국 국방부에 따르면, 헤그세스 장관은 전사 정신의 회복, 군 재건, 억지력 재확립에 바탕을 둔 ‘힘을 통한 평화’ 달성을 촉구했다.

그는 2025년 5월 말 연설에서 “좋은 말로 포장할 이유가 없다”며 지난 1월 취임 이후 가장 강도 높게 중국에 날을 세웠다. 헤그세스 장관은 또한 중국이 대만을 침공하려 한다면, “인도태평양과 전 세계에 파괴적인 결과를 불러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만을 자국 영토로 간주하는 중국은 필요할 경우 무력 통일도 불사하겠다고 공언해 왔으며, 최근 대만 주변에서 군사훈련을 강화하는 등 군사적·정치적 압박 수위를 높이며 이러한 주장을 부각시키고 있다. 대만 정부는 중국의 주권 주장을 거부하고 있다.

헤그세스 장관은 “중국이 인도태평양 내 힘의 균형을 바꾸기 위해 군사력 사용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실질적으로 준비하고 있음을 모두가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동맹국과 파트너국에 자국의 안보 투자를 확대할 것을 촉구했다.

샹그릴라 대화의 주최 기관이기도 한 런던 소재 국제전략문제연구소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악화되는 안보 전망에 대비하고자 일부 인도태평양 국가들은 산업 파트너십을 확대하는 한편 자국의 방산 산업을 육성하는 등, 무기 및 연구 관련 지출을 급격히 늘리고 있다.

헤그세스 장관은 각국 대표단들을 대상으로 미국 내에서 자주 논의해 온 ‘전사 정신의 회복’ 등의 주제에 관해 얘기했다.

그는 “우리는 다른 나라에 미국의 정치나 이념을 강요하거나 주입하려고 이 자리에 온 것이 아니다. 기후변화나 문화적 이슈에 대해 설교하러 온 것도 아니다”라면서 “우리는 여러분의 전통, 여러분의 군을 존중하며 공동의 이해관계가 맞닿는 지점에서 서로 협력하길 원한다”라고 밝혔다.

댓글 입력

저희는 귀하의 개인정보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제공하시는 경우, 포럼 직원은 해당 정보를 연락을 위한 목적으로만 활용합니다. 귀하의 이메일 주소는 외부에 공유되거나 공개되지 않습니다. 댓글에는 귀하의 성함과 웹사이트 주소만 표시됩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관련 기사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