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FP 통신
중국이 비정부기구(NGO)로 위장한 친중국 조직을 대거 투입해 유엔에서 활동하는 인권활동가를 감시하고 위협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42개 언론 기관이 참여한 이번 ‘중국 표적(China Targets) 조사는 중국이 해외 비판 세력의 입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을 심층 분석했다.
2025년 4월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가 발표한 이번 조사 보도 중 한 부분은 스위스 제네바의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중국이 공격적 행보를 강화하는 실태를 다루고 있다. 해당 조사는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친중 성향의 정부 조직 비정부기구(GONGO), 즉 친중국 관변단체의 존재감이 커지는 현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단체들은 이사회 회의에 대거 참석해 중국을 옹호하고, 중국의 광범위한 인권 침해와 억압에 대한 유엔과 전문가들의 보고와는 크게 상반되는 찬양 일색의 보고서를 제출한다.
예를 들어, 2022년 당시 유엔 인권최고대표가 발표한 보고서는 중국 서부 신장 지역의 소수민족 위구르족을 대상으로 “반인도적 범죄”가 자행되었을 가능성을 지적했으며, 그 외에 티베트 어린이들을 가족으로부터 강제 분리하는 동화 정책이나 홍콩의 민주화 운동가 탄압 등을 다룬 보고서도 발표되었다.
하지만 합법적인 NGO들이 인권이사회에서 이러한 문제를 제기하려 하면, 친중국 관변단체가 회의를 무산시키거나 증언을 묵살하고자 노력했다고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는 보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유엔에 등록된 중국 NGO의 수는 2018년 이후 거의 두 배로 증가했다.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가 유엔에 등록된 중국 본토·홍콩·마카오·대만 등의 NGO 106개를 분석한 결과, 그중 59개가 중국 공산당이나 정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관변단체로 파악됐다.
2022년부터 2025년 1월까지 유엔인권이사회 주재 미국 대사를 지낸 미셸 테일러(Michele Taylor)는 보고서에서 “이것은 좀먹는 행위이며 부정직한 행동”이라고 꼬집으며
“자국의 인권 침해를 감추고 서사를 재구성하려는” 중국 정부 차원의 이러한 시도를 강하게 비판했다.
조사 결과, 인권 침해에 대해 증언할 예정인 사람들을 중국 관변단체가 감시하고 협박하는 사례 역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와 협력 언론사가 인터뷰한 15명의 중국 인권 전문 활동가와 변호사들은 “중국 정부 대리인으로 의심되는 인물들로부터 감시나 괴롭힘을 당하고 있다고” 진술했다.
이러한 사건은 유엔 내부는 물론 제네바 시내 곳곳에서 벌어졌다.
보고서는 2024년 3월 인권이사회에서 커져가는 중국의 존재감에 극심한 두려움을 느낀 중국인 활동가들과 반체제 인사들이 유엔 청사에 들어가기를 거부했던 사례를 조명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그들은 유엔 본부가 아닌 “근처의 일반 사무실 건물 최상층에 모여 볼커 튀르크(Volker Türk) 유엔 인권최고대표와 비공개 면담을 진행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초대받지 않은 4명이 해당 장소에 갑자기 나타나 광둥인권협회 소속이라고 주장하며 회의에 대해 캐물었다.
줌레타이 아르킨(Zumretay Arkin) 세계위구르의회 부의장은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사건은 광둥 그룹이 “우리는 너희를 지켜보고 있다 … 너희는 우리를 피해가지 못한다”는 중국의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