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이터
유엔 인권 사무소는 미얀마 군사 정권이 자신들의 통치에 반대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지역의 지진 피해자들에게 대해 중요한 인도적 지원을 보류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엔은 또한 2025년 3월 말 지진 발생 이후 집권 군부가 반대 세력을 상대로 공격을 가했다고 보고된 수십 건의 사건을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중에는 공습도 있었으며, 그 중 16건은 4월 초에 있었던 휴전 선언 이후에 발생했다.
유엔 인권 사무소 대변인 라비나 샴다사니(Ravina Shamdasani)는 특히 군부의 통제 밖에 있는 지역 내 인도적 상황이 재앙적이라고 말했다. 이번 지진은 미얀마에서 지난 100년 간 발생한 지진 중 가장 강력한 수준인 강도 7.7로, 2,800만 명이 집을 잃었으며, 건물이 무너졌고, 지역 사회가 파괴되었으며, 많은 주민들의 식량과 물을 앗아갔다.
지진 발생 1주일 후 보고된 사망자 수는 3천 명을 넘어섰다.
샴다사니 대변인은 “공습은 우려스럽고 충격적인 행위이며, 즉시 중단되어야 한다. 인도적 복구에 집중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다른 나라들은 주요 물자를 제공하고 구호 및 복구 작업을 진행하는 등 급히 미얀마 돕기에 나섰다.
이라와디(The Irrawaddy)지 보도에 따르면, 지진 발생 며칠 후 군부가 휴전을 선언했으며, 4년간의 내전에서 군사 정권에 맞서 싸우고 있는 소수 민족 무장 단체 중 일부도 휴전을 선언했다. 그러나 미얀마 신문에 따르면,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은 지역에서는 충돌이 계속되고 있으며, 군부의 공습이 민간인과 저항 단체를 표적으로 삼고 있다.
유엔 인권 사무소 미얀마팀 책임자인 제임스 로드하버(James Rodehaver)는 “원조 제한은 2021년에도 군부가 자신들의 권력 장악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사람들에게 원조가 제공되지 못하도록 막으며 사용했던 전략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2021년 2월,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부를 전복한 군부의 쿠데타로 인해 내전이 촉발되어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피해를 입었다. 주로 농업에 의존하던 미얀마의 경제는 파괴되었고, 35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집에서 쫓겨났으며, 의료 및 기타 필수 서비스가 황폐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