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공통 사안동북아시아분쟁/긴장

대만, 2027년까지 신형 잠수함 두 척 배치 예정

로이터

대만 잠수함 프로그램 책임자에 따르면, 대만이 2027년까지 최소 2척의 국내 개발 신형 잠수함을 배치하고 후속 모델에 미사일을 장착하여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에 대한 억제력을 강화하고 주요 공급선을 보호할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다.

중국이 대만을 자국 영토라고 주장하며 대만 주변에서 거의 매일 군사 훈련을 실시함에 따라 대만은 야심찬 군현대화 프로젝트의 중심에 잠수함 프로그램을 두고 있다.

잠수함 프로그램은 2016년 차이잉원(Tsai Ing-wen) 대만 총통의 취임과 함께 시작됐다. 여러 국가의 전문 지식과 기술을 활용한 잠수함 프로그램은 외교적으로 고립된 대만의 돌파구다.

차이 총통의 안보 고문인 황슈광(Huang Shu-kuang) 대장은 1980년대에 취역한 네덜란드산 잠수함 2척을 포함한 잠수함 10척으로 구성된 잠수함 함대가 태평양에서 인민해방군 해군의 전력 투사에 걸림돌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 대장은 2023년 9월 잠수함 프로그램에 대한 내부 브리핑에서 “잠수함 전투 능력을 구축할 수 있다면 전쟁에서 지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황 대장에 따르면, 가격 2조 813억 원(15억 4천만 달러)의 첫 번째 잠수함은 록히드 마틴사의 전투 시스템을 사용하며 미국산 MK-48 중어뢰를 탑재할 것이다. 첫 번째 잠수함은 10월에 해상 시험에 들어가 2024년 말에 인도될 예정이다.

황 대장은 후속 모델에 대함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는 장비가 장착될 예정이며 미국의 생산 가능 여부에 따라 무기가 추가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잠수함이 일본 남서부 근처의 미야코해협이나 대만과 필리핀을 가르는 바시해협을 건너는 인민해방군 해군 군함에 대한 “전략적 억제력”이라고 말했다.

황 대장은 대만의 디젤 전기 잠수함이 일본에서 시작하여 대만과 필리핀을 거쳐 보르네오까지 이어지며 중국 연안 해역을 둘러싸는제1열도선 내에서 인민해방군 해군을 저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황 대장은 “이는 또한 제1열도선 내에서 중국을 봉쇄하고 접근을 거부하는 미군의 전략적 개념이기도 하다.”며 “대만이 점령당하면 일본도 안전하지 않고, 한국도 안전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최근 몇 달 동안 산둥 항공모함을 포함한 인민해방군 해군이 대만 동부 연안에서 갈수록 활동을 늘리자 여기서 중국이 공격을 개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일어났다. 계획가들은 오랫동안 해당 지역을 대만군이 분쟁 중에 병력을 재편성하고 보존할 곳으로 생각해왔다.

황 대장은 잠수함으로 분쟁 시 물자를 받을 수 있는 동부 항구를 확보하여 태평양으로 향하는 대만의 “생명선”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잠수함을 이용하여 인민해방군 해군으로부터 동부 해안을 지킬 것이다.”라고 말했다.

대만 국가정책재단의 군사 연구원 치 청(Chieh Chung)은 중국이 공격을 시작하기 전에 태평양에 군함을 배치할 수 있지만,

잠수함이 이 지역의 전략적 매복 지점을 점령하고 항공모함 전단이나 상륙 함대 같은 고가 함정을 표적으로 삼는다면 “인민해방군 해군의 전투 능력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대만은 잠수함 건조를 위해 최소 7개국에서 기술, 부품, 전문가를 조달했다.

황 대장은 어느 국가가 수출 허가를 승인했는지는 밝히지 않았지만 인도, 일본, 한국, 미국 등의 장성들과 접촉했다고 말했다.

댓글 입력

저희는 귀하의 개인정보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제공하시는 경우, 포럼 직원은 해당 정보를 연락을 위한 목적으로만 활용합니다. 귀하의 이메일 주소는 외부에 공유되거나 공개되지 않습니다. 댓글에는 귀하의 성함과 웹사이트 주소만 표시됩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관련 기사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