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중국 감시를 위한 군사 주둔 강화

로이터
2022년 12월 중순 필리핀 국방부가 전략적 요충지인 한 섬 인근 해역에서 “중국 활동”을 모니터링한 후 남중국해의 군사 주둔을 강화하라고 명령했다.
국방부는 활동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중국이 영유권 분쟁 중인 스프래틀리제도 내 무인도 네 곳에서 공사 중이라는 보고가 이어졌다.
필리핀 국방부는 성명에서 필리핀의 320킬로미터 배타적 경제수역 내 해양 지형을 침입하거나 매립하는 행위는 필리핀 영토 내에 있는 파가사섬(티투섬의 필리핀 명칭)의 안보를 위협한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중국에 기존 규칙 기반 국제 질서를 지키고 긴장을 악화시키는 행동을 자제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마닐라 주재 중국 대사관은 양국이 “우호적인 협의를 통해 해양 문제를 적절히 처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 2022년 3월 중국 해안 경비대와 필리핀 해안 경비대가 남중국해를 통과하고 있다.)
2016년 국제재판소는 필리핀이 필리핀 서해라고 부루는 남중국해의 대부분에 대한 중국의 영유권을 기각했으나 중국은 계속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필리핀, 타이완,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베트남도 글로벌 무역로이자 천연 자원이 풍부한 남중국해에 대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중국은 수중 암초에 일곱 개의 인공섬을 건설하고 그중 일부에 지대공 미사일, 격납고, 활주로를 설치했다. 티투섬은 중국의 인공섬 중 하나인 수비암초와 가깝기 때문에 스프래틀리제도에서 필리핀이 점유하고 있는 9개 지형 중 전략적으로 가장 중요하다.
필리핀군 서부 사령부는 성명에서 정기 해상 및 공중 순찰 중 티투섬, 란키암암초, 휘트선암초, 샌디암초 주변에 중국 해양 민병대가 “영구 주둔” 중인 것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12월 중순 미국 국무부도 필리핀을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중국에 “남중국해에서 규칙에 기반한 국제 질서와 항행의 자유를 지키라”고 촉구했다. 베나르 뉴스에 따르면 미국은 성명에서 스프래틀리제도의 이로코이암초와 사비나사주 인근에 중국 선박 무리가 필리핀 어민을 방해하고 다른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국과 해당 지역에서 합법적으로 활동하는 국가를 “계속 무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Ferdinand Marcos Jr.) 필리핀 대통령은 중국의 영유권 주장을 무효화한 2016년 판결을 수차례 언급했다. 2022년 11월 필리핀은 외교 항의서를 제출하고 필리핀 해안 경비대 함정이 티투섬 인근에서 인양한 중국 우주 로켓의 파편을 중국 해안 경비대가 압수했다고 비난했다.
사진 제공: 필리핀 해안 경비대/AP 통신/